물리학을 알면 미래가 보인다

세계로 나아가는 물리학과

첨단연구장비개발
인재 양성의 산실

충북대학교 물리학과

물리학을 알면 미래가 보인다

세계로 나아가는 물리학과

첨단연구장비개발
인재 양성의 산실

충북대학교 물리학과

물리학을 알면 미래가 보인다

세계로 나아가는 물리학과

첨단연구장비개발
인재 양성의 산실

충북대학교 물리학과

교수소개
학부 교과과정
대학원 교과과정
FAQ
연구실 소개
교양물리
홍보영상
SCROLL DOWN
more
  • 학과소식
  • 학부공지
  • 대학원공지

충북대 김기웅 교수,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들과의 인연과 양... NEW

지난 2016년 존 클라크 연구 50주년 기념 축하회에서 김기웅 충북대 물리학과 교수(왼쪽)이 존 클라크 버클리대 물리학과 교수(중앙)와 기념촬영했다. 오른쪽은 황성민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 충북대학교(총장 고창섭) 물리학과 김기웅 교수가 올해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들과의 연구 협력 경험과 양자기술 발전 과정을 소개하는 기고문을 발표했다.​   ☐ 김 교수는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초전도 연구센터장 재직 시절, 올해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존 클라크 교수와 같은 연구 분야에서 활동하며 긴밀히 협력했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존 클라크 교수를 한국으로 여러 번 초청했고, 미국 버클리대학으로 연구원을 파견해 협력 연구를 진행했다.​   ☐ 2016년 존 클라크 교수의 연구 50주년 기념 축하회에도 초대받아 참석한 김 교수는 "클라크 교수가 1966년 1월 'SLUG'라고 명명한 초전도양자간섭장치(스퀴드, SQUID)를 만든 것을 본인의 연구 원년으로 삼았다"며 당시 많은 제자와 동료들이 참석한 파티를 회상했다.​   ☐ 김 교수는 올해 노벨 물리학상이 양자역학 수립 100주년으로 UN이 선정한 세계 양자과학기술의 해(IYQ)에 수여된 것에 큰 의미를 부여했다. 그는 "2022년 벨의 부등식 실험증명에 이어 양자 실험 분야에서 노벨상이 나온 것은 눈에 보이지 않던 양자역학적 관점을 현실 응용에 활용할 수 있는 수준의 실험으로 증명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 올해 수상자인 미국 존 클라크, 미셸 드보레, 존 마티니스 교수들은 1980년대 중반 함께 연구하던 그룹으로, 극저온에서의 초전도 현상을 이용해 거시적 전기회로에서도 파동의 결맞음성이 유지되도록 하여 양자 터널링 현상을 관측했다. 김 교수는 "초전도양자간섭장치는 인류가 개발한 가장 정밀한 양자 센서로, 고전적 자기장 센서보다 백만 배 더 정확한 자기장 측정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 김 교수는 "현재 양자컴퓨팅 산업을 선도하는 기술 플랫폼이 초전도 큐비트"라며 "수상자들의 기초 연구가 현재 구글의 양자컴퓨터 개발로 이어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이론으로부터 시작한 양자역학의 큰 흐름이 세 명의 수상자를 관통하여 현실에서 동작하는 양자컴퓨터까지 이어지고 있다는 사실에 감회가 깊다"고 소회를 밝혔다.[출처: https://zdnet.co.kr/view/?no=20251008122521]
10.14

연구장비개발
대학원

나노과학기술
연구소

기초과학
연구소

천체물리
연구소